우연한 실수와 막연한 행동이 자신의 운명의 뒷덜미를 잡을 때
생각없이 저지른 실수가 자신의 운명의 뒷덜미를 잡고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을 파탄에
빠트린다. 인도에서 어느 여인이 우연히 버스를 잘못탔다가 타지에서 살다가 25년 만에
자신의 가정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삶에 있어서 우연이란 불확실성은 막연한 행동,
생각없이 한 행동이 불러들이는 재앙이
다. 때로는 이 우연성이 행운을 불러들이고 운명을 반전시키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그
럴 수
있으려면 우린 미리 우연성이 주는 재앙을 반전 시키줄 아는 지혜와 불 이익을
이익으로 바꿀수 있는 행동이 뒷받침되어야만
한다.
성경에서 바벨이란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징계하는
수단으로 내린 형벌로 <소통의 혼란>
의 의미로 해석된다. 야훼는 하나의 언어권을 여러 언어권으로 쓰게 하는 징벌을
인간
에게 내리고 그 고통을 받게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바벨>에는 <언어 소통의
부재>가 오는 혼란 보다는 <오랜 관습적 행동>이 불러
일으키는 뷸이해에 천착하고 있는 듯 보인다.
영화는 우연히 일본인 관광객에게 소총을 얻은 모로코
인이 이웃에 사는 농부에게 이 총
을 팔게 되면서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을 그리고 있다. 소총을 산 이웃은 양을 지키는 아
들에게 주며
자칼로부터 양을 보호하라고 한다.
이 아들들이 소총의 성능을 시험한다며 무심코 지나가는
미국 관광객을 태운 버스를 겨냥
해 발사하고 그 중에 한 여인이 총을 맞는다. 이 사건이 보도 되며 세계의 언론은 테러리
스트들의
소행이라고 발칼 뒤집히게 된다.
그리고 이들이 바로 미국으로 돌아오지 못하자 미국에선
이들의 아들과 딸을 돌보는 멕시
코 보모가 안절부절하며 당황을 한다. 아들의 결혼식에 가야하기 때문이다. 결국 돌아오지
않자 보모는
자신이 돌보는 백인 꼬마 아이들을 데리고 멕시코로 떠난다.
한편 모로코 경찰들은 조사 끝에 테러리스트가 아닌
산골 마을의 주민의 행동이라는 것을
알게되고 이들을 추적한다. 겁에 질린 아버지는 두 아들을 데리고 도망을 가다 경찰에
발각되고
총격전에 아들을 결국 잃고 만다.
다시 영화는 총을 선물한 일본인의 근황을 보여 주고
있다. 총은 원래 자신의 부인이 자살
한 것이었다는 것을 영화의 종반 장면에서 노출 시키고 있다. 농아인 딸은 부부 지간의
소통의
부재의 표현으로 감독은 의도적으로 등장시키고 있는 듯 보인다. 고등학생인 딸은
베란다에서의 투신자살을 꿈꾸며 자신의 엄마가 총으로 자살하지
않고 투신자살을 했다고
상상하며 주변에 그렇게 말하고 다닌다.
멕시코에서 결혼식을 마치고 돌아가는 보모는 미국에
입국시 때 아닌 곤경에 부딪치게 된
다. 출입국관리원은 보모에게 '아이들을 부모에게 허락을 맡고 데리고 갔느냐?'고 묻는다.
보모가
답변을 못하자 출입국 관리원은 차를 옆에 데라고 한다. 그러자 이들을 동행해
운전하던 젊은 멕시코인은 그대로 도망을 가다 아이들과 보모를
사막의 한 가운데 내려놓
고 혼자 떠난다.
여기서 우린 다시 두 문화와 두 관습과 두 상식의
충돌에 접하게 된다. 자신의 아들의
결혼식에 반드시 참석해야하는 엄마와 자신이 직업으로 돌보고 있는 두 아이에 대한
책임감이다.
멕시코적 상식이나 한국의 상식이라면 이런 경우는
당연히 용납이 될 수 있고 이해가 될
수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미국이나 서구의 관습으로 보면 그녀는 아이들을 데리고 결코
결혼식에
가선 안된다. 그것은 상식을 넘어선 때로는 납치나 월권행위로 사법적 처벌 대
상으로 될 수도 있다.
결국 그녀는 16년 간 살며 얻은 영주권과 미국의
대한 아메리칸 드림을 뺏긴 체 쫓겨 나고
만다.
한 소년의 우발적인 총기 난사가 불러 일으킨 파장을
씁슬한 시각으로 보여 주고 있는
이 영화는 21그램으로 뛰어난 구성력을 보여준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감독의 작품이다.
미국인 관광객의
남편 역으로 브래드 피트와 총을 맞은 부인 역으로 케이트 블란쳇이
조연급으로 출연했다.
이 영화는 소통의 부재 현상을 간접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 그러나 감독은
나라와 나라 간의 언어의 소통의 부재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 아니다. 소총을 모로코인
에게 주고 온 것은
부인의 자살이 동기 였고 부인의 자살은 부부 지간의 소통의 부재였
었다는 것을 은근히 암시하고 있다.
바벨이란 제목을 굳이 확대 해석해 영화의 즐거리를
개관해 보면..결국은 작은 소통의
부재가 큰 파장을 불러일으켜 걷잡을 수 없는 마치 바벨탑을 지은 후의 대 혼란을 불러
일으킬 수 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영화 속에서 '소통의 부재' 보다는
'우연성'과 '무책임함' '방만한 무주의
성'이 주는 삶의 위험성과 흔들리는 삶을 더 유심히 지켜보았다.
<은시의 영화 읽기>
'산다는 것이 예술이다, > 은시의 영화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 아워스(The Hours), 영화 속의 또 다른 악녀 로라이야기 (0) | 2008.07.15 |
---|---|
영화 속의 악녀, 돌로레스 클레이븐 (Dolores Claiborne)' (0) | 2008.07.15 |
피노 느와르 같은 30대 여인들의 이야기, 사이드웨이Sideways (0) | 2008.07.14 |
악녀는 프라다를 입는다 (0) | 2008.07.14 |
스캔들 노트 A Note on Scandal (0) | 2008.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