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see)'의 진정한
의미
국어
사전에서 시각을 이용한 말로 '보다'의 의미만을 찾아보면 첫째 시각적으로 보는
것을 말하는 '사물의 모양을 알다(see)'둘째,
시각적으로 보고 즐기는 것을 말하는
'감상하다.(appreciate, enjoy)' 셋째, '대상의 내용을 알려고 살펴 보는
것(view,
watch)', 넷째로는 평가하다(Judge)등이 있다.
말이란 시대마다 의미가
달라지고 시대마다 새로운 의미를 덫붙이기도 한다. 이 시각
적으로 보는 의미의 '보다' sight 는 예를들어 애를 보다, 아이를 보다
(look after, care
)의미로 확장하고 '사위를 보다. '며느리를 보다'의 맞아들이다(take or meet)으로
언어의
뜻을 넓혀 쓰고 있다.
영어에서도 역시 see를 만나다(see)와 방문하다(visit)의 의미로 확장해 사용하고 있
다.
그외도 바람을 피고
새로 재가를 하는 의미로 '새 서방을 보다',와 '새각시를
보다' 라는 의미로 사용하는데 역시 영어에서도 '바람을 피다'라는 '애정
관계의
사람을 사귀다의 의미로 see를사용하고 있다.
또 단지 '보는 것'은
현실에서만 시각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머리 속에서 상상적으
로 보는 것 (imagine)을 포함하고 '보는 것' 통하여 '아는
것(know)을 의미하고 다시
이 아는 것을 통하여 이해하는 것(understand)로 넓히는 것을
말한다.
당연 영어에서도
see(보기)는 understand(이해한다)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이 이해
를 넘어서 사고의 범위가 미치는 것이 바로
평가(Judge)이다. 한국어에서도 보는 것을
이렇게 평가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재미있게도 학생들에게
보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 써 보라고 하면 view, watch,
look, sight의 범위, 즉 눈으로 보는 것을 넘어서지 못한다.
한국의 성인들에게 미술사를
가르치면서도 느낀 것은 본다는 것의 의미와 완성은 뇌
의 작용과 사고를 거쳐야만 완성이 되는데...학생들 같이 눈으로 보는 것의 범위를 못
넘어선다는 것이다.
눈을 가진 모든 동물은 본다.
그리고 먹을 것과 못 먹을 것 정도는 식별하는 능력을 기
르고 위험한 것과 위협성이 있는 것과 상관없는 것들은 본능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눈
을 가지게 되어 있다.
인간의 눈이란 이런 눈을
넘어서 '감상'할 줄 알고 '평가'하고 이해할 줄 아는 눈을 가
져야만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나의 모친이 나를 호되게
야단칠때 마다 호통친 말씀, '눈을 보기 좋으라고 얼굴에
만든 것이 아니고 보라고 만들어 놓은 것이야!' 폼으로 만든 것이 아니고 보기
좋으라
고 만든 것이 아니라 잘 보고 잘 판단하며 잘 알라고 생긴것이라는 말을 떠올리는데...
현실 속에서 만나는 많은 사람들이
눈을 사람의 눈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동물의 눈
정도로 이용하며 살고 있다.
눈을 잘 쓰는 방법과
단계
1. 사물을 그냥 보는 눈에서(1단계)
2. 분별하는 눈(2단계)으로 키우고
3.
다시 분별하는 눈에서 즐기고 감상할 줄 아는 눈(3단계)으로 키우고
4. 이 감상하고 이해하는 눈에서 다시 아는 눈(4단계)으로 키우고
5. 아는 눈을 평가하고 분석할 줄 아는 눈(5단계)으로
6. 분석 평가한 눈을 키운 후에 비전과 전망을 할 줄 아는
눈(6단계)으로 키우는 것이
우리의 눈이 갈길이다.
그러나 60을 살고 70을 살면서도 자기 눈을
분별하는 눈으로 키우기에 급급하다 죽고
만다. 수 많은 아름다움과 미술 품이 옆에 있는데도 그것을 즐기거나 감상할 수 없는
눈으로
만들지 못한다.
즉 절반도 사용하지 못하고 두 번째의 단계에서 급급한 눈을 가지고 살다가들 간다.
그대는 어떤 눈을 가지고
있는가? 네 번째의 눈을 가지고 있는가 5번째, 아니면 6번
째의 눈을 가지고 있는가?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먹고 사는데 허덕이다 보니 그렇다고? 가장 궁색한 변명이다. 세계의
대부분의 현자와
철학가 문학가와 예술가들이 대부분 굶고 헐벗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 전망과 비전을
할 줄 아는 눈을
키웠다.
<은시의
글/ 행복어 사전 중에서>
'산다는 것이 예술이다, > 나의 행복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하고 즐겁고 행복하게 사는 방법이 없을까? (0) | 2008.11.26 |
---|---|
'좋아한다(like)'와 '사랑한다(Love)' 혼동하면 삶이 망가지는 까닭 (0) | 2008.09.30 |
사랑과 행복, 결혼에도 유효 기간이 있다. (0) | 2008.09.22 |
감성(感性)과 감정(感情)의 차이 (0) | 2008.09.16 |
노동으로부터의 안식(安息) (0) | 2008.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