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다는 것이 예술이다,/역사란 무엇인가<전망과 비전>

이젠 4대 문명이 아니라 5대 문명입니다.<은시가 쓰는 세계 문화사>

열린문화학교 2009. 11. 4. 06:56

만화와 일러스트레이션을 이용하여 제가 쓴 메소포타미아 책의 내용입니다.

그동안 1년 간 유럽에 발간되는 신문에 연재했던 것들을 모아 다시 교정을 보고

한 권의 책으로 엮어 편집해 보았습니다.


여기에 소개하는 내용들은 주요 내용의 속표지 그대로 입니다.


..........................................................................


메소포타미아 역사에서 우린 무엇을 배워야 하지?



차례




1. 세계 최초의 문명의 발생지,메소포타미아


수메르와 우르

길가메시의 신화가 주는 것


2. 신화를 왜 읽어야하는 거야?


3. 왜, 수많은 나라가 갑자기 성장했다 망했을까?

  세계 최초의 제국, 아카디안 제국

비슷한 시대의 메소포타미아 왕과 이집트 왕의 표현은 어떻게 다르지?


4. 어떻게 옛날  보통사람들의 실생활을 엿볼 수 있을까?

에쉬눈나의 법과 함무라비법


5. 그 시대의 법조문을 통하여 실생활을 엿보는 방법


6. 법과 문화, 미술이 무슨 관계가 있지?


미의식을 이루는 5가지 요소와 법(法)


7. 3천년 간이상이나 숨겨져 있던 신비한 제국의 역사


8. 고대사에서 가장 오랜 제국을 유지한 아시리아 제국의 성장 비결은?


9. 역사를 도대체 왜 알아야하는 거야?


10. 문화와 예술적 표현이 나라마다 왜 다르지?


11.사르곤 왕조의 부흥과 멸망



............................................................................................................................................................................................


                     1. 세계 최초의 문명의 발생지,메소포타미아

이젠 4대 문명이 아니라 5대 문명입니다.




  기존에 알려졌던 4대 문명에 에게 문명이 끼어들었습니다. 크레타와 에게 바다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그리스 문명의 원류가 된 에게 문명은 4대 문명 중에서 지금 제일 주목을 받고 있습

니다. 왜냐하면 15세기 이후부터 전 세계사를 주도하고 있는 유럽 중심의 서구 문명의 원류

이기 때문입니다.

  이 같은 까닭에 첫째 에게 문명이 4대 문명을 제치고 중심적 위치로 부상하고 있으며, 둘

째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이집트의 찬란한 고대 문명이 에게 문명에게 영향을 미친 문명으로

조명되고 있습니다.


  유감스럽게도 고대사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두 문명이 보조역으로 전락한 것

같은 인상을 주는 까닭은 지금 현재 그들의 위치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이미 현대사의

뒷전으로 물러나고 폐허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문화는 에게 문명을 형성하고 오늘의 세계

역사를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했고 동양의 역사와도 무관하지가 않습니다.


  우리가 메소포타미아 문화와 이집트 문화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까닭은 아직도

그 문화권에 사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 직접적인 이유 외에도 오늘 날 서구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고 서구 문화의 정체성을 바로 파악하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네 문화의 만남과 통합 그리고 계승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에 의해 기원전 약 300여 년간의 시간을 세계 문화 통합이라는

위대한 시간을 갖고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세계시민>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기

되었습니다. 이 <세계 시민>의 개념은 다시 2천년이 흐른 후인 이즈음에 다시 제기 되고

있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우린 다시 2,300여 년 전에 젊은 지도자인 알렉산더의 역사적

통찰력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습니다.

  그의 스승이고 당시의 석학이고 대철학자인 아리스토델레스는 청년 알렉산더에게

충고하기를 ‘적을 잡으면 반드시 노예로 삼을 것’을 권고 했지만 그는 평화와 상호 호혜의

원칙을 적용하여 정복한 페르시아 왕의 딸과 결혼을 하고 자신의 부하들에게도 적극적으로

결혼을 권하여 두 문화가 혈연적으로 융합되기를 시도했습니다.


  헬레니즘이라 불리는 문화는 바로 <세계 시민>을 위해 전혀 다른 문화가 서로 통합해

만들어 낸 결과인 것입니다. 이 시기를 정점으로 이들이 어떤 문화를 유지하고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았는가, 밝히는 것이 바로 고대사의 초점입니다.



   메소포타미아의 문화를 들어가기 전에



  제가 들여다보는 메소포타미아 문화의 접근은


첫째 어떻게 세계사와 관련을 맺고 그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둘째,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특징은 무엇이고 그 것이 당시의 주변 문명인 이집트

문명과 어떻게 다른가?

셋째, 고대사의 3천여 년 간 번영을 누리던 비결은 무엇이었고 왜 멸망을 했는가,

원인과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고,

넷째, 기존 문화사의 사건 중심과 왕조 중심이 아닌 시민과 일반인을 중심으로

관점을 전환하기 위해, 최초로 법 규정을 통해 그 나라와 그 시대의 일반 시민,

보통 사람들의 생활을 들여다보기를 시도해 보았습니다.

다섯째, 일반 유물이나 미술품을 통해 미의식과 함께 내면을 들추는 시도를 하며

상대적 비교로 한 역사적 인식의 관련성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자 했습니다.



<은시의 글/ 이 내용은 책의 속표지와 소개 내용입니다>